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이란 전세 계약 종료시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반환해야하는 전세보증금의 반환을 책임지는 보증상품입니다.

     

    보증료 지원사업은 전세사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상품 가입자가 납부하는 보증료를 최대 30만원까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작년부터 시행하던 지원사업을 올해에는 더 많은 국민이 혜택볼수 있도록 연령제한을 없애고 소득기준과 보증법위를 확대하였습니다.

     

     

    모집기간

    2024.3.4(월) ~ 지자체별 확인필요

     

     

    지원대상

     

    소득기준 청년(19세이상~39세이하) :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청년 외 : 연소득 6천만원 이하
    신혼부부(혼인신고일 7년 이내) : 연소득 합산 7천 5백만원 이하
    주택조건 보증금 3억원 이내
    보증조건 신청일 기준 보증효력이 유효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HUG, HF,SGI) 가입 및 보증료 납부 완료자
    ※ 24.6.30 이전 신청인에 한하여 2024.1.1~3.3 기간 유효한 청년 또는 신혼부부 지원가능

     

    지원내용

     

    전세보증금반환 보증료 지원(최대 30만원)

    • 청년 : 납부 보증료 전액
    • 청년 외 : 납부 보증료의 90%
    • 신혼부부 : 납부 보증료 전액

     

    제외대상

    • 외국인 및 국내에 거주하지 않는 재외국민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다른 등록임대사업자의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임대인
    • 임차인이 법인인 경우(회사 지원 숙소 등)
    • 그 박에 해당 지자체장이 지원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신청방법

     

    필요서류

     

    • 보증료 지원신청서
    • 서약서
    • 본인 명의의 통장사본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증서
    • 보증료 납부 증빙서류(납부액기재)(보증증서에 납부금액이 적혀 있을 경우 납부 증빙서류 생략 가능)
    • 임대차계약서, 부동산 등기사항 전부증명서
    • 주민등록 등본
    • 혼인관계증명서
    •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신청일이 7월 1일 이전인 경우 전전년도 소득금액증명), 소득이 발생하지 않아 소득금액증명이 발급되지 않는 경우 '사실증명원(신고사실없음)' 제출, 기혼자는 본인 및 배우자의 소득증빙 서류 모두 제출

    모든 서류는 신청일 기준 1개월 이내 발급한것이어야 하고, 본인이 신청하는 것이 원칙이며, 배우자만 대리신청이 가능합니다.(대리신청시 방문신청이 가능하고, 위임장과 본인 및 배우자의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온라인 신청방법

     

    정부24(보조금24)에서 검색창에 '전세보증금' 검색 → '해당지역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을 선택해서 신청

    서류들은 스캔 혹은 촬영(PDF, JPG파일) 후 시스템 내 첨부

     

     

     

     

    정부 24에 없는 지역은 각 지역별 싸이트에서 접수가 되니, 추가 검색하여 신청하시면됩니다.

    예시 : 경기도 민원24

     

    방문신청

     

    방문 접수를 하는 경우, 구청 및 행정복지센터에서 서류를 들고 제출

     

     

     

     

    전화문의

     

    • 국토교통부 1599-0001
    • 각 지자체 별 정책담당 부서
    지자체 부서 연락처
    서울 주택정책과 02-2133-7277
    인천 주택정책과 032-440-4744
    경기 주택정책과 031-8008-3234
    강원 건축과 033-249-3464
    부산 청년정책담당관 051-888-4612
    울산 건축정책과 052-229-4414
    경남 건축주택과 055-211-4374
    대구 주택과 053-803-4613
    경북 청년정책과 054-880-2763
    대전 청년정책과 042-270-0832
    충북 건축문화과 043-220-4474
    충남 건축도시과 041-635-4655
    세종 청년정책담당관 044-300-6033
    광주 주택정책과 062-613-4872
    전남 건축개발과 061-286-7725
    전북 주택건축과 063-280-2365
    제주 주택토지과 064-710-4252

     

     

    보증료 지원사업을 통해 더 많은 임차인이 전세사기로부터 두텁게 보호받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