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희망적금은 사회초년생, 저소득 청년들을 위해 추가로 장려금 지원과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가 적용되어 많은 인기가 있었던 적금상품입니다.

     

    신청조건은 총 급여 3,600만원 이하(종합소득금액은 2,600만원 이하)의 19세~34세 청년이 대상이고, 이율은 약 5%(은행별로 상이하지만 우대금리 포함하면 6%까지), 월 50만원씩 납부, 저축장려금 3% 추가되어 만기금액이 1300만원이 되는 상품이었습니다. 이자소득은 비과세였습니다.

     

    22년 2월에 상품이 출시되어 24년 2월 만기에 도달한 사람이 41만명에 달하고 금액은 20조원으로 예상됩니다.

     

    만기에 도달하여 이 목돈을 다시 재투자 할수 있는 상품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구분 내용
    대상 만 19세~34세 중 개인소득이 지난해 총급여 7,500만원, 종합소득금액 4,800만원 이하,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인청년
    내용 매월 70만원 한도 내 자유롭게 5년간 납입
    혜택 최대 6% 은행 이자, 비과세 혜택, 소득에 따른 정부 기여금
    특징 청년희망적금 연계 가입 시 일시납 금액에 따른 추가 이자 지급

     

    고금리 시중은행 상품

    구분 은행 상품
    청년 희망적금 만기자 KB 국민은행 '공동구매 정기예금' 우대금리 포함 최고 4%
    신한은행 'My 플러스 정기예금'우대금리 포함 최고 3.85%
    청년 대상 적금 하나은행 '급여하나 월 복리 적금' 우대금리 포함 최고 5.85%
    우리은행 'N일 적금' 연 6% 금리
    농협은행 'NH1934월복리적금' 우대금리 포함 최고 4.6%

     

    고금리 파킹통장

    구분 은행 상품
    소액 예치 광주은행 '365 파킹통장' 1000만원 이하분 최고 3.5% 금리
    SC제일은행 '내 월급통장' 1000만원 이하분 최고 3.5% 금리
    에큐온저축은행 '머니 모으기 통장' 200만원 이하분 최고 5% 금리
    고액 예치 다올저축은행 'FI 자산관리통장'에 3억원 이상 예치 시 최고 3.8% 금리 
    BNK저축은행 '삼삼한 파킹통장'에 5000만원 이하 예치 시 최고 3.6% 금리

     

    반응형